1️⃣ 맥 터미널에서는 ./h2.sh로 데이터베이스 실행이 잘 되는데, 윈도우에서는 해당 명령어를 입력해도 브라우저에 아무런 변화가 없다.
◾ 윈도우에서 터미널 ➡ 우분투로 실행시
(1) d 드라이브로 진입 : 저는 h2를 설치해놓은 폴더가 d 드라이브에 있기 때문입니다.
cd /mnt/d
(2) h2 폴더 하위의 bin 폴더에 진입 및 h2.sh 혹은 h2.bat 실행 : 모두 실행 안됨
./h2.sh
./h2.bat
"/h2.sh" 혹은 "/h2.bat"
(3) 브라우저에 아무 변화가 없어 h2 console 아이콘을 눌러 바로 접속하였습니다..
✅ 차후에 해결하면 방법을 반드시 공유하겠습니다.
2️⃣ 새로운 데이터 베이스 생성 연습 : 오른쪽 하단의 화살표 모양을 눌러 H2 console 아이콘을 찾는다 ➡ 우클릭 후 create a new database.. 를 클릭한다.
◾ cokadood.mv.db 파일을 생성해볼 것이다.
◾ Username은 초기값 그대로 sa로 사용하고, Password는 입력하지 않았다.
◾ 생성에 실패하였다.
- Database path의 .을 ~로 바꾸어주었다.
- 비밀번호를 생성해주었다.
◾ 성공적으로 생성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.
3️⃣ H2 Console로 h2를 실행하여 연결을 확인한다.
◾ 브라우저 URL상 :8082 앞부분을 localhost로 변경해준다.
◾ 위와 같이 JDBC URL을 변경한 후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연결을 눌러준다.
◾ 성공적으로 연결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4️⃣ mv.db 파일 확인하기
◾ cmd를 실행한 후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준다.
dir /w
◾ mv.db 파일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.
5️⃣ 참고) 동일 이름의 db 파일이 이미 존재하여 테이블이 생성된 경우 한 번에 지우는 방법
drop all objects
◾ 위의 쿼리를 실행하면 모든 테이블이 사라진다.
'코딩하는 코커두드 > Database (mysql, redis 등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atabase] MySQL 워크벤치로 스키마 및 테이블 생성 1 (0) | 2024.07.20 |
---|---|
[Database] MySQL Command Line Client 실행 실패시 대처법 (0) | 2024.07.20 |
[Database] mysql 워크벤치로 스키마 및 테이블 만들기 (0) | 2024.05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