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️⃣ 1 bit (비트) : 0과 1을 나타내는 가장 작은 단위
◾ 1비트 : 전기 스위치 1개로 볼 수 있다. ex) (on, off) - 경우의 수 2개
◾ 4비트 : 전기 스위치 4개를 조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.
ex) (on, off) (on, off) (on, off) (on, off) : 경우의 수 2개 * 4개의 경우 = 2⁴ = 16
◾ 4비트는 8 4 2 1을 기억하라! 아래 예시를 보면
ex) 1011을 10진수로 표기하면? ➡ 1을 on 0을 off라고 했을 때 8 + 0 + 2 + 1 = 11이 된다.
2️⃣ 16진수
◾ 16진수는 언제 사용되는가?
- RGB 색상을 표현할 때
ex) 빨간색의 16진수는 # FF0000 이다. ➡ (255, 0, 0)
- 컴퓨터 하드웨어 주소를 표기할 때 (분석할 줄 알아야 함)
- 메모리 값을 표기할 때
◾ 수학적 10진수를 코드상 16진수로 표기하기 : 10진수 15 ➡ 16진수 0x15
◾ 이진수를 16진수로 표기하기 1
◾ 이진수를 16진수로 표기하기 2
3️⃣ 8bit ➡ 1 byte : 영문자 한 글자가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크기이자 관리의 최소단위
참고) 1024(2¹⁰) byte = 1KB, 16bit 65,536(2¹⁶) byte = 64KB
🌞 본 포스팅은 개인 공부 복습용 정리본 입니다.
🌞 한 주간 여기뿅, 저기뿅 하느라 공부에 잠시 소홀했었는데 오랜만에 공부를 다시 시작하니 기분이 좋네요. 앞으로 꾸준히 해보려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