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금의 제 나이에서 정확히 10을 뺀 20대 초반의 어느 날, 음악을 좋아하는 지인으로부터 이 앨범을 선물받았어요. 당시 저는 지금처럼 무더위가 시작되기 직전, 그러니까 긴 장마 기간에 작은아버지께서 물려주신 차 안에서 이 앨범을 한 바퀴 돌았어요. 독립전이었으니 차 안에서 오롯하게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니 편안하더라고요. 어두운 밤이었던, 그리고 차 유리 너머로 장맛비가 쏟아지던 그 날이 생경한 밤입니다.
1. 프로젝트에서 h2 연동, 설정하기
(1) build.gradle에 다음과 같이 dependencies를 추가합니다.
runtimeOnly 'com.h2database:h2'
(2) 프로젝트 폴더>src>main>resources>application.properties
✅ application.properties 파일 형식을 yml로 바꿉니다. 해당 파일을 클릭하고 shift + F6 버튼을 누르면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.
✅ 다음과 같이 코드를 추가해주세요.
spring:
h2:
console:
enabled: true
2. h2 연결 확인
콘솔을 보면 다음과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8080포트로 연결이 되었고요, localhost:8080/h2-console로 접속을 해보겠습니다.
✅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.
✅ 그런데 콘솔을 보면 다음과 같이 JDBC URL이 나타나있습니다.
✅ 해당 주소를 복사해서 JDBC URL에 붙여넣기 해주세요.
✅ 그런다음 connect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연결 화면이 성공적으로 보입니다.
3. h2 접속시 고정적인 URL로 바꾸기
spring:
h2:
console:
enabled: true
datasource:
url: jdbc:h2:mem:test
✅ 코드 url을 설정하여 application.yml 파일에 입력해주세요. 프로젝트를 다시 실행하고 localhost:8080/h2-console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만날 수 있습니다.
✅ JDBC URL에 설정한 URL을 입력해주세요. 그리고 Connect를 하면 정상적으로 아래와 같은 화면을 만날 수 있습니다.
이렇게 h2 연결이 마무리되었습니다.
마무리
이제 2개월 남짓한 시간이 남았네요. 한동안 정신적으로 부담이 많이 됐는데 저만의 속도로 차근차근 해보려 합니다.
🚨 이 글은 개인 학습을 위한 기록입니다. 잘못된 정보가 상당수 있을 수 있습니다.